본문 바로가기

나는 외국인이다 1탄 :: 외국인 등록증 만들기와 국민 보험 가입하기

반응형



일본에 도착해서 내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있다면 그것은 '나는 외국인이다'를 일본에 알리는 일이었다. 관광객이 아닌지라 이곳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국인 등록'이 필수적인데, 그 등록을 하러 시부야 구약소1를 찾아갔다.





내가 사는 곳은 '하타가야幡ヶ谷'라는 곳으로, 신주쿠에서 게이오선을 타고 두정거장만 가면 되는 곳이다. 그래서 신주쿠 구이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예상과는 달리 시부야 구에 속해있었다. 시부야 구약소는 NHK 방송국 근처에 있는데, 가이드북에서 보던 곳을 실제로 보니, 정말 일본에 왔다는 것이 실감이 났다.





헤이세이(평성)19년, 즉 2007년이다.


번호표를 뽑고 주변을 둘러봤다. 한국의 동사무소와 크게 다르지 않는 모습이 여기저기서 눈에 들어오는 일본어가 아니었다면 아마 한국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르겠다.




나의 어설픈 일본어로 과연 잘해낼 수 있을까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담당자는 이미 많이 겪어서였는지 천천히 알아듣기 쉽게 일본어로 설명해 주었다. 게다가 나보다 일본어를 더 모르는 외국인들은 어떻게든 손짓 발짓+영어 등으로 대화하고 있었다. 일단 등록 서류를 썼다. 엄청난 한자들이 종이 위에서 춤을 춘다.





등록 서류를 내고 나니 며칠이 걸릴 것이라는 말과 함께 시부야 구 지도2와 '외국인 생활 수첩'이란 오묘한 이름의 책자를 건네어준다. 책의 내용은 대략 쓰레기 분리수거는 이런 식으로, 불법적인 행동은 하지 말라는 등의 내용이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이 바로 이것! 외국인 등록을 할 때 같이 신청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바로 '외국인 등록을 했습니다'에 대한 증명서이다. 이것을 뗀 이유는 우체국 통장을 만들기 위해서인데, 통장을 만들 때 여권만으로는 우체국에서 만들어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 신청한 외국인 등록증은 바로 발급3되지 않아서 이 증명서가 따로 필요했다.





쇠뿔도 단김에 빼랬다고, 구약소 온 김에 국민 보험까지 가입을 했다. 사실 가입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지만, 내가 일본에서 사는 동안 아프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어서 당연히 가입!





외국인 등록증 신청을 잘 완료했듯이 이번에도 잘 해낼 테다! 라고 생각하며 앉았더니, 이런! 할아버지4다.(할아버지 이름이 기무라 뭐였는데, 괜히 기무라 타쿠야 생각이 나면서 무슨 관계 있냐고 물어보고 싶었다. 지금 생각해보니, 물어봤음 얼마나 어색했을까..) 내 일본어 실력으로는 할아버지가 하는 말은 제대로 못 알아들을 텐데 어쩌나..하고 걱정도 잠시, 그냥 몇 가지의 확인만 하고 접수 서류를 준다. 





오늘은 한자로 글을 많이 쓰는 날이었다. 내가 쓰는 서류는 총 2개로 하나는 국민 보험 가입과 관련된 내용이고, 하나는 '내가 작년에 수입이 없는, 학생입니다' 라는 서류이다. 이는 보험료가 작년 소득을 기준으로 책정되는데, 학생들은 '수입이 없다'고 보는 것이 맞기 때문에 이 서류를 쓰면 보험료가 적게 나온다. (물론 그것도 아까워서 보험가입 하지않는 사람들도 있다.)





짜잔! 이렇게 보험 가입을 완료하고 보험증5을 받았다. 외국인등록증과는 달리 보험증은 바로 발급이 되더라는. 좀 부실하게 생기긴 했지만, 그래도 일본에서 처음으로 내 이름이 들어간 '증'이 생겨서 뿌듯했다. 그와 동시에 공부해 왔던 일본어를 실제로 일본에서 써 봤다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경험이었다. 자, 이제 우체국 통장과 핸드폰을 만들러 가볼까?


최신정보(2012.02.14)
7월부터 구청에서 이제 외국인 등록 관리를 안하며, 외국인 등록증이 없어진다고 한다. 외국인등록원표가 아닌 구청에서 주민등록표를 발급하게 되고, 등록관련해서는 구청이 아닌 입국관리소에서 담당하게 된다고 한다.






반응형